아이코리아 아동발달연구원

닫기

아이들의 건강하고 밝은 미래, 아동발달과교육연구원과 함께 하세요.

시간이야기/정현주/출판사 아이코리아

홈 > 정보 및 자가진단 > 자료실

자료실

공지사항 상세보기
제목 [아이가 달라졌어요] 가족지원 상담프로그램
작성일 2016-09-07 조회수 1281 첨부파일

장애아동 가족지원 상담 프로그램


정은주 (음악치료사)


  여성으로서의 삶은 우리에게 다양한 페르소나 (persona)의 형성을 요구한다. 일상에서 만나지는 사람의 모습과 성향이 각양각색이듯, 삶의 현장에서 여성이 아내로서, 엄마로서, 또는 직업인으로서 주어지는 역할과 과제는 매우 다양하다. 최근 가속화된 핵가족화 현상에도 불구하고 가족 공동체 안에서 가사와 양육은 여성에게 편중되어 있다. 특히 나의 아이가 장애를 가지는 경우, 아이를 위한 치료와 교육, 기타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 등은 대부분 엄마의 몫이 된다. 또한, 아이의 엄마는 장애에 대한 외적 비난과 죄책감에 노출되기 쉬우며 사회적 고립감을 경험할 수 있는데, 과도한 양육 스트레스는 이에 대한 대처기술 및 문제해결 능력을 저하시키며 우울과 불안 등의 부정적 정서를 초래한다. 가족 및 사회 공동체 안에서 지원의 부재는 엄마는 심리·정서적, 신체적 소진을 가속화하게 되는데, 현재 치료 및 교육 기관에서 제공되고 있는 부모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은 그 초점이 아이의 장애에 주로 머물러 있어 이러한 소진에 대한 문제를 다루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원의 아동발달 교육연구원과 한국육영학교 협력으로 시행된 가족지원 상담 프로그램은 장애 아이의 엄마로서, 아내로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존재이기 이전에, 여성이 한 사람의 온전한 인간으로서의 나를 인식하고 회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장애 아이의 엄마가 경험하는 고민과 갈등을 표현하고 공유하며, 쉼과 회복에 대한 자원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본 프로그램은 음악과 미술, 모래놀이 등 다양한 예술매체를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나도 모르게 두드려본 실로폰, 흥얼거리는 노래 한 소절, 어릴 적 기억을 되살리며 쌓아 올린 모래언덕과 나를 닮은 꼬마 인형들, 하얀 도화지 위에 문득 스쳐가는 붓 자국. 예술 활동에 한걸음씩 몰입함으로써 어머니들은 실제 세계와의 단절을 경험하며, 스트레스로부터 해방되어 자신의 세계 안에서 내적 재충전의 시간을 가졌다. 또한, 은유적이며 상징적 도구를 통한 예술 활동은 비난과 죄책감으로 굳게 쌓아 올려왔던 어머니들의 방어 기제를 눈 녹듯 허물어뜨린다. 유사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하지만 죄책감과 부정적 정서로 인하여 표현과 소통의 발걸음을 떼지 못하고 있는 어머니들은 스스로 마음의 빗장을 풀기 시작하였다.

 

그룹 안에서 노래 부르기와 악기 연주, 모래놀이, 그림 그리기 활동을 통하여 를 표현하고 공유함으로써, 어머니들은 자신의 상황과 상태를 인식하고 언어화하였다. 악기 소리를 만들어 내고, 모래 위에 다양한 figure를 놓아가는 과정에서 나의 내면과 내가 살아가고 있는 실재를 투영하였으며, 이러한 표현을 통하여 무의식 안에 잠자고 있던 나의 사고와 느낌을 의식 수준으로 끌어올려 나를 인식하고 수용하며, 인내하는 경험을 하였다. 또한, 내가 만들어 내는 악기의 울림에서 마음의 쉼을 얻고 다른 사람과의 조화를 통하여 함께 있음을 인식하며, 보다 아름다운 소리를 만들어 내기 위하여 협업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타인과의 공감과 소통을 통하여 고통을 분담하였으며, 타인의 경험을 통하여 나의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가는 등 함께하는 힘과 미래에 대한 기대를 공유하였다.

 

실제로 프로그램 전후에 실시한 검사 결과에서 참여자들의 우울과 불안 수준이 감소하였으며 자아존중감 수준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들은 자신의 내면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것이 가족과 대인관계에 대한 지각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기회가 되었으며, 자녀 양육이 여전히 부담스럽고 어렵게 느껴질 지라도 스트레스를 대처할 만한 내적 자원을 찾았다고 보고 하였다. 또한 참여자들은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만족감을 보이며, 보다 심화된, 지속적인 프로그램 참여 의사를 비추기도 하였다. 따라서, 장애 아동의 어머니들이 여성으로서의 자아를 회복하고, 다양한 역할이 요구되는 삶에 발 맞추어 갈 수 있도록 향후 지속적,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목록